ID저장
FAQ(자주하는 질문)
이용관련
- 공지사항
- 한방뉴스
- 제품설명 & 자료실
- 해외배송안내
고객 게시판
- 자유게시판
- 질문과답변
- A/S 문의
- 개원컨설팅 문의
- 이 상품을 찾아주세요
인쇄물 시안확인
   현재위치 : HOME > 한방 뉴스

제목 소장내시경, 캡슐내시경 보험적용된다
글쓴이 대중메디팜
날짜 2014-08-05 [16:47] count : 3250
SNS

소장내시경은 8월 1일, 캡슐내시경은 9월1일부터 적용

보건복지부(장관 문형표)는 ‘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계획’에 따라, 소장 질환의 내시경적 시술 및 처치 등에 필수적인 ‘풍선 소장내시경’, 심장이식 후 거부반응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‘심근 생검검사’ 및 암세포가 뼈에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‘뼈 양전자단층촬영(F-18 bone PET)’ 등 3개 항목은 8월1일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한다고 29일 밝혔다.

또한 소장부위의 질환여부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‘캡슐내시경검사’와 파킨슨병환자의 도파민 신경세포의 손상여부를 진단하는 데 필요한 ‘뇌 양전자단층촬영(F-18 FP-CIT brain PET)’ 및 ‘뇌 단일광자단층촬영(I-123 FP-CIT 뇌 SPECT)’ 등 3개 항목은 9월1일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한다고 밝혔다.

이번 급여 전환으로 환자 부담금(소장지혈 기준)은 200만원에서 15만6천원으로 줄어들게 되어 연간 700여명의 소장질환자 진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.





‘심근 생검검사’는 심장 이식 후에 거부반응 진단에 필수적이고, 심근염, 심근병증 등 심근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방법이다. 환자 부담금(심장이식환자 기준)은 125만원에서 3만원으로 줄어들며, 연간 520여명의 심장이식자 및 심장 질환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.

암세포가 뼈에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‘뼈 양전자단층촬영(F-18 bone PET)’은 선별급여로 전환되고, 본인부담율은 80%가 적용된다.

이 영상검사는 뼈스캔(Bone Scan) 등 기존의 검사방법 보다 진단의 정확도는 높으나 고비용 검사이므로 선별급여를 적용하게 되었으며, 기존 검사에서 뼈 전이여부가 확실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한 검사방법이다.

이번 선별급여 전환으로 환자 부담금(전신촬영, 행위료 기준)은 61만원에서 38만6천원으로 줄고, 연간 1,200명의 뼈 전이 의심 암환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.

‘캡슐내시경 검사’는 위, 대장내시경으로 확인할 수 없는 소장 부위의 병변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서 대상 질환에 따라 급여 또는 선별급여로 전환된다.

위, 대장내시경으로 병변을 확인할 수 없으나 ‘소장 부위의 출혈이 의심’되는 경우에는 필수적인 검사방법에 해당되므로 급여로 전환되고, ‘크론병, 소장종양, 기타 소장 질환이 의심’되는 경우에는 기존 검사(소장조영촬영 등)의 보완적 검사이고, 고비용 검사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별급여로 전환되고 본인부담률을 80%가 적용된다.
이번 급여전환으로 그동안 진단 및 치료가 어려웠던 소장질환의 진단율을 높이고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대폭 경감될 것으로 기대된다.

환자 본인부담금은 원인불명 소장출혈의 경우(급여) 130만원에서 10만7천원으로, 크론병, 소장종양, 기타 소장 질환(선별급여)은 130만원에서 42만9천원으로 줄어들게 되며, 연간 약 2,800명의 소장질환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.

‘뇌 양전자단층촬영(F-18 FP-CIT brain PET)’과 ‘뇌 단일광자단층촬영(I-123 FP-CIT 뇌 SPECT)’은 선별급여로 전환되고 본인부담율은 80%가 적용된다.

이 영상검사는 파킨슨병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나, 치료 방법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별급여를 적용하게 된다.

환자 부담금(행위료 기준)은 뇌 양전자단층촬영(F-18 FP-CIT brain PET)의 경우 60만원에서 26만7천원으로, 뇌 단일광자단층촬영(I-123 FP-CIT 뇌 SPECT)은 55만원에서 9만3천원으로 줄어든다.

보건복지부는 금번 급여 확대로 연간 약 10,300명의 환자가 혜택을 받게 되며, 약 22억원의 보험재정이 추가 소요될 것으로 밝혔다. 아울러 선별급여 결정 항목에 대해서는 주기적(3년)으로 재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, 본인 부담율 등을 조정하거나 필수급여로의 전환 여부를 검토하게 된다고 밝혔다.

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.
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
7   식약처, ‘한약제제 천연물신약 범주 없는 문제’ 개선 예정 대중메디팜 2013-12-07 3035
6  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즉각 중단하라!! 대중메디팜 2013-12-02 2450
5   한의약의 치매 치료효과에 ‘주목’ 대중메디팜 2013-12-02 2478
4   홍삼 건기식 오남용 인한 부작용 ‘우려’ 대중메디팜 2013-12-02 4062
3   한의사의 의료기기 활용, 국민건강 위해 허용돼야 대중메디팜 2013-11-05 2713
2   침·뜸·부항 치료 60.57%가 경험 대중메디팜 2013-11-05 3479
1   한방진료 건강보험 적용 확대 필요하다 대중메디팜 2013-11-05 2621
1 EA
상호 : 대중메디팜 / 주소 :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 248번길 20 / 전화 : 031-255-7576 / 팩스 : 031-245-2141
대표이사 : 이 용하 /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: 박 규태 / 사업자등록번호 : 135-17-97037 (정보확인)
통신판매업신고 : (제2016-수원영통-0528호) / E-mail : 12oneshop@naver.com
Copyright(c)2007 12oneshop.com rights Reserv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