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D저장
FAQ(자주하는 질문)
이용관련
- 공지사항
- 한방뉴스
- 제품설명 & 자료실
- 해외배송안내
고객 게시판
- 자유게시판
- 질문과답변
- A/S 문의
- 개원컨설팅 문의
- 이 상품을 찾아주세요
인쇄물 시안확인
   현재위치 : HOME > 한방 뉴스

제목 요양기관 하루 4.54개씩 증가…한의병원 증가 가속화
글쓴이 대중메디팜
날짜 2015-05-15 [10:04] count : 1922
SNS
2014년 전체 요양기관 수 전년 대비 1.95% 증가한 8만6629개소

한의원 2.47%·한의병원 8.96% 증가…전체 요양기관 중 한의의료기관 점유율 15.76%

건강보험심사평가원(원장 손명세)이 12일 발표한 2014년 요양기관(병·의원 등) 현황 통계에 따르면,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요양기관 수는 총 8만6629개소로 일년 사이 1658개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
이는 2013년 대비 1.95% 증가한 수치로 하루 평균 4.54개의 요양기관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.

특히 지난해 19개소가 늘어난 한의병원의 경우 2014년 증가율(8.96%)이 2013년 증가율(5.47%)보다 무려 3.49%p 상승하여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있었다.

반면 같은 기간 요양병원은 105개소 증가에 그쳐 2014년 증가율(8.52%)이 2013년 증가율(11.70%)보다 3.17%p 가량 하락하 것으로 나타나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.또한 지난해 한의원은 2.47% 증가한 1만3423개소로 전체 요양기관 중 15.49%를 차지했다. 전체 요양기관 중 한의원과 한의병원 등 한의의료기관의 점유율은 15.76%를 기록했다.

전체 요양기관 절반, '수도권에 집중'…요양기관 분포 불균형 심각

이번 통계에 따르면 전체 요양기관의 49.72%가 여전히 서울과 경기,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.

요양기관 수가 가장 많은 서울특별시 강남구(2761개소)는 가장 적은 경상북도 울릉군(10개소)에 비해 약 276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, 강남구가 울릉군의 인구수가 약 56배 차이나는 것과 비교하면 인구 대비 요양기관의 분포 불균형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.

특히 강남구는 11개 요양기관 종류 중 6개 종류(병원, 의원, 치과병원, 치과의원, 한의원, 약국)에서 요양기관 수 1위를 차지하였으며, 요양병원은 경상남도 김해시(28개소), 한의병원은 광주광역시 북구(24개소)가 각각 최다 지역으로 나타났다.

반면 경상북도 울릉군에는 보건기관 및 한의원을 제외한 의원 및 치과의원이 없어 의료혜택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.

인구 1만명당 요양기관 수는 16.88개소…면적 1㎢당 0.86개소 요양기관 분포

인구 1만명당 2014년 요양기관 수는 16.88개소이며, 기초자치지역 중 최다는 대구 중구 66.74개소, 최소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8.92개소로 확인되었다.

지역 평균은 15.16개소로, 군지역 17.57개소 및 구지역 18.52개소는 물론, 전체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, 최다지역 대비 최소지역의 편차가 시지역은 12.05개소로, 군지역 16.62개소 및 구지역 57.85개소 보다 오히려 작아 군 및 구지역에서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였다.

2014년 요양기관 밀도는 0.86으로, 우리나라 면적 1㎢당 요양기관이 0.86개소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기초자치지역 중 대구광역시 중구는 1㎢당 요양기관 74.50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밀도가 가장 높은 반면,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 인제군과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1㎢당 요양기관 0.03개소가 분포하였다.

심평원 관계자는 “이번에 발표한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시군구 단위의 세분화된 기본통계로 의미가 크다”며, “앞으로도 국민, 요양기관, 정부 등에 도움이 되는 보건의료자원 통계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공개할 것”이라고 밝혔다.

또한 "이번 통계가 지방자치단체 간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양기관 창업을 준비하는 의료인들에게 개원지역 선택에 유용한 정보로 제공·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"고 밝혔다.

한편 2014년 의료자원 통계는 '심평원 홈페이지(www.hira.or.kr)/정보공개/통계정보/통계자료실'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.
이규철 기자 [soulite@live.co.kr]

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.
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
37   ‘틱장애’, 한의학으로 치료 대중메디팜 2014-04-09 4089
36   교통사고 환자 의료서비스 질적 제고 한의진료 지원에 달렸다 대중메디팜 2014-04-01 2926
35   원격의료법안 국무회의 통과 규탄 대중메디팜 2014-03-26 2953
34   임신 중 침구 치료 ‘안전’ 대중메디팜 2014-03-11 2858
33   한약제제 급여 확대, 한방보장성 강화 방안 마련돼야 대중메디팜 2014-03-11 3184
32   의협, 집단휴진 돌입 대중메디팜 2014-03-11 2918
31   한방치매특별등급’ 진단서 발급 교육 실시 대중메디팜 2014-02-25 3072
30   심평원 인력 충원&천연물신약 양방 보험급여 취소 건의 대중메디팜 2014-02-25 2609
29   보건소에 한의사 필수배치 필요 대중메디팜 2014-02-25 2463
28   “한의약 R&D 투자와 지원 부족하다” 대중메디팜 2014-02-07 5977
27   천연물신약 고시무효확인의 소 판결의 의미 및 쟁점정리 대중메디팜 2014-02-07 2589
26   "의료일원화, 의대-한의대 통합 추진" 대중메디팜 2014-02-05 3240
25   곽향정기산+프로바이오틱스 제제, 과민성 장증후군에 효과 대중메디팜 2014-02-03 3150
24   당뇨병 발병률, 태음인이 소음인 비해 1.8배 높아 대중메디팜 2014-01-24 4220
23   미용.성형 진료용역 부가세 과세 확대 시행(2014-2-1일) 대중메디팜 2014-01-24 2870
0 EA
no
show
상호 : 대중메디팜 / 주소 :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 248번길 20 / 전화 : 031-255-7576 / 팩스 : 031-245-2141
대표이사 : 이 용하 /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: 박 규태 / 사업자등록번호 : 135-17-97037 (정보확인)
통신판매업신고 : (제2016-수원영통-0528호) / E-mail : 12oneshop@naver.com
Copyright(c)2007 12oneshop.com rights Reserved